1 |
‘수치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한 연차 발굴조사 유적의 공간정보 정합 방법과 활용 가능성 검토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여 왕흥사지 사례를 중심으로-
|
우상은·송아름
|
|
2 |
현존 유물을 중심으로 본 16~19세기 조선 선회포(旋回砲)의 종류와 변천과정
|
김명훈
|
|
3 |
조선후기 금고의 범자 체계와 제작시기
|
이용진
|
|
4 |
한국미술정보의 국제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 서화가 정보 다국어 메타데이터 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유혜민
|
|
5 |
경주 첨성대 천문관측대설의 종언(終焉)
|
장활식
|
|
6 |
창덕궁 도배에 사용된 문양지의 지질 및 안료 연구
|
김지원·손하늘·조규혁·정선화
|
|
7 |
성천 강선루(降仙樓)를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객사(客舍) 부속 누각(樓閣)의 사상적 배경 및 조형 특성
|
심순희·김충식
|
|
8 |
정조(正祖)의 「상림십경(上林十景)」으로 본 동궐(東闕) 후원에 펼쳐진 위정(爲政)과 감흥(感興)의 이념경관
|
노재현·김홍균·정푸름
|
|
9 |
노거수 수세 진단에 적합한 초분광 영상 식생지수 및 파장대 선정 연구
|
김수현·김충식·이재용
|
|
10 |
매장유산의 특징과 활용방안 연구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
이민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