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
학술논문
논문제목 | 저자 | 학술지 | 권(호) | 페이지 | 게재년도 | 분야 |
---|---|---|---|---|---|---|
전통 단청안료 표면의 물리적 특성 변화 모니터링 | 김지선, 정혜영, 변두진, 유민재, 김명남, 이선명 |
보존과학회지 | 36(6) | 549-561 | 2020 | 단청 |
포항 광정산 일대 산출 뇌록으로 제조한 안료의 특성 분석 | 문성우, 강영석, 김지선, 황가현, 박주현, 이선명, 정혜영 |
보존과학회지 | 36(6) | 533-540 | 2020 | 단청 |
경복궁 향원정에 사용된 단청안료의 과학적 분석 | 황가현, 문성우, 이선명, 정혜영 |
보존과학연구 | 41 | 109-120 | 2020 | 단청 |
동록안료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대기환경 영향 평가 | 박주현, 김명남, 박세린, 유지아, 김수경, 이선명 |
광물과 암석 | 33(4) | 1-16 | 2020 | 단청 |
산부식법으로 제조한 동록안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영석, 문성우, 이선명, 정혜영 |
보존과학회지 | 36(3) | 178-186 | 2020 | 단청 |
조선시대 건물지에 사용된 모르타르의 재료적 특성 분석 -북한산성, 남한산성,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김은경, 강산하, 강소영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36(12) | 151-161 | 2020 | 석회 |
조선시대 관영건축공사에 사용된 석회의 생산과 이동 - 외규장각 의궤를 중심으로 - |
강소영, 김은경, 안선아 |
보존과학연구 | 41 | 149-159 | 2020 | 석회 |
석회 종류와 배합비 별 문화재 보수용 석회 모르타르의 초기거동특성과 수축특성 연구 | 남병직, 노상균, 김은경, 안선아, 강소영 |
보존과학회지 | 36(6) | 456-474 | 2020 | 석회 |
보수·복원용 한지의 초지 공정 조사 연구 | 김지원, 정선화 | 보존과학연구 | 41 | 87-107 | 2020 | 한지 |
전통한지 제조를 위한 잿물 증해법의 효율 증대 연구 | 정소윤, 김지원, 정선화 |
펄프·종이기술 | 52(4) | 73-80 | 2020 | 한지 |
Classification Option for Korean Traditional Paper Based on Type of Raw materials, Using Near-infrared Spectrosopy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 장경주, 허태영, 정선화 |
BioResources | 15(4) | 9045-9058 | 2020 | 한지 |
문화재 보존을 위한 살생물제 승인 및 인증 과정에 대한 연구 | 김영희, 임보아, 이정민, 김수지, 조창욱, 박지희 |
보존과학연구 | 41 | 5-27 | 2020 | 생물 |
Investigation of microorganisms deteriorating ancient Ola leaf manuscripts | 김영희, 최경화, 홍진영, 이정민, 김수지, 조창욱, 정소영 |
Restaurator.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Preservation of Library and Archival Material | 41(3) | 119-129 | 2020 | 생물 |
Exploration of Preservatives that Inhitib Wood Feeding by Inhibiting Termite Intestinal Enzyme Activity | 이정민, 김영희, 홍진영, 임보아, 박지희 |
J. Korean Wood Sci. Technol. | 48(3) | 376-392 | 2020 | 생물 |
국내 산출되는 황토의 특징에 따른 천연(제조)안료 특성 연구 | 문성우, 강영석, 한민수, 정혜영 |
보존과학회지 | 35(6) | 259-271 | 2019 | 단청 |
전통 안료 제법 규명을 위한 연표법 연구 | 강영석, 정혜영 | 보존과학회지 | 35(6) | 664-669 | 2019 | 단청 |
적색 및 황색 계열의 천연 무기안료의 광물학적 특성 및 촉진내후성 평가 연구 | 박주현, 정혜영 | 광물학회지 | 32(4) | 259-271 | 2019 | 단청 |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묘에 사용된 회의 특성 연구 -하남 감일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
김은경, 강태홍, 강소영 |
백제학보 | 30 | 113-140 | 2019 | 석회 |
닥나무 인피섬유와 한지의 원산지 판별모델 개발을 위한 NIR 및 MIR 스펙트럼 데이터의 PLS-DA 적용 | 장경주, 정소윤, 고인희, 정선화 |
분석과학회 | 32(1) | 7-16 | 2019 | 한지 |
문화재 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 마련을 위한 제작공정별 한지의 특성 평가 | 손하늘, 정소윤, 장경주, 정선화 |
펄프·종이기술 | 51(6) | 175-185 | 2019 | 한지 |
닥나무 인피섬유의 증해액이 섬유와 종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정소윤, 류은정, 정선화 |
펄프·종이기술 | 51(6) | 91-101 | 2019 | 한지 |
경상도 목조 문화재의 미생물 분포 변화 | 김수지, 조창욱, 이정민, 정소영, 박지희, 김영희, 홍진영 |
보존과학연구 | 40 | 25-37 | 2019 | 생물 |
탐지견 반응 및 환경인자 분석을 통한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피해 조사 | 김영희, 임보아, 이정민, 조창욱, 김수지, 박지희 |
보존과학회지 | 35(6) | 641-651 | 2019 | 생물 |
24절기 야외 부유곰팡이 농도 조사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성 분석 | 김명남, 홍진영, 이정민, 박지희 |
보존과학회지 | 35(6) | 652-663 | 2019 | 생물 |
선암사 조사당의 흰개미 피해 및 환경 특성 토예 분석 | 임보아, 김명남, 김영희, 이정민, 조창욱, 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35(3) | 197-208 | 2019 | 생물 |
입지조건에 따른 목조문화재의 부유 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에 관한 비교 연구: 보은 법주사와 순천 선암사 | 홍진영, 이정민, 김영희, 김수지, 조창욱, 박지희 |
한국균학회지 | 47(2) | 131-142 | 2019 | 생물 |
포항 장기면 일대에 산출되는 뇌록의 다양성 연구 | 문성우, 김재환, 공달용, 문동혁, 정혜영 |
암석학회지 | 27(4) | 195-205 | 2018 | 단청 |
공작석과 남동석으로 제조한 천연안료의 특성 연구 | 강영석, 문성우, 박주현, 정혜영 |
한국광물학회지 | 31(4) | 249-256 | 2018 | 단청 |
미얀마 바간유적 채색문화재(벽화)의 손상현황 분석 | 정혜영, 황가현, 문성우, 박지민, Chaw Su Su Hlaing |
한국전통문화연구 | 22 | 171-196 | 2018 | 단청 |
남한산성 외성 여장 사춤재와 현대 사춤재의 비교 연구 | 김은경, 안선아, 남병직, 강소영 |
고문화 | 92 | 61-77 | 2018 | 석회 |
미얀마 전통 건축물의 수리복원에 사용되는 석회 플라스터 특성 연구 | 안선아, 김은경, 남병직, 초수수랭, 강소영 |
한국광물학회지 | 31(4) | 267-275 | 2018 | 석회 |
한국‧일본 문화재 수리복원에 사용되는 석회의 제조와 현장 적용 | 강소영, 김은경, 안선아, 남병직 |
한국전통문화연구 | 22 | 151-171 | 2018 | 석회 |
지류문화재의 분류와 특성 연구 | 정선화, 고인희, 손하늘, 장경주 |
한국전통문화연구 | 22 | 99-217 | 2018 | 한지 |
한지 원재료인 닥나무와 인피섬유의 해부학적·화학적 특성 연구 | 고인희, 정선화 | 보존과학회지 | 24(6) | 517-524 | 2018 | 한지 |
목조문화재에서 계절에 따른 부유 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에 관한 연구 | 홍진영, 김영희, 이정민, 김수지, 조창욱, 박지희, |
한국균학회지 | 46(2) | 122-133 | 2018 | 생물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ocal Meteorological Ele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i in the Beopjusa and Seonamsa Temples | 김명남, 임보아, 홍진영, 이정민, 박지희, 정소영 |
보존과학회지 | 34(4) | 283-293 | 2018 | 생물 |
통계적 모형을 통한 법주사와 선암사 목조건축물의 기상인자에 대한 상관성 분석 | 김영희, 김명남, 임보아, 이정민, 박지희 |
보존과학회지 | 24(5) | 387-396 | 2018 | 생물 |
Neem Juice의 흰개미 피해 예방 및 항균활성 검증 | 이정민, Chwa Wu Wu Hlaing, 김영희, 임보아, 홍진영, 박지희 |
보존과학연구 | 39 | 87-102 | 2018 | 생물 |
도서발간
도서명 | 발간년도 | 유형 |
---|---|---|
천연 무기안료_본문편 | 2020 | 보고서 |
천연 무기안료_자료편 | 2020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_서울·경기도 편 | 2020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_서울편 | 2020 | 보고서 |
외규장각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석회 | 2020 | 보고서 |
전통석회 시범적용 모니터링 | 2020 | 보고서 |
우리 종이, 한지(韓紙) -공정조사편- | 2020 | 기타 |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1권 | 2020 | 보고서 |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2권 | 2020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_경상남도편 | 2019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_경상북도 1 | 2019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_경상북도 2 | 2019 | 보고서 |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북, 대전, 세종 | 2019 | 보고서 |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남 | 2019 | 보고서 |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 2019 | 보고서 |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대구, 부산 | 2019 | 보고서 |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기, 인천 | 2019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 공동학술 심포지엄 발표논문집_전통안료와 원료광물 | 2018 | 발표논문집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전라북도 편 | 2018 | 보고서 |
전통 단청안료의 과학적 조사·분석/전라남도 편 | 2018 | 보고서 |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남도 | 2018 | 보고서 |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 2018 | 보고서 |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안동 | 2018 | 보고서 |
기술특허
특허명 | 출원번호 (출원일) |
등록번호 (등록일) |
---|---|---|
내후성시험용 시편거치대 | 10-2020-016055 (2020. 12. 1) |
|
안료 분별 방법 | 10-2018-0093041 (2018. 8. 9.) |
10-1957716 (2019. 3. 7.) |
문화재용 단청소재의 자연내후성 시험을 위한 구조물 | 10-2019-0016686 (2019. 2. 13.) |
10-2064966 (2020. 1. 6) |
초음파탐상기 탐촉자용 고정장치 | 10-2018-0114356 (2018. 9. 21.) |
10-2011293 (2019. 8. 9.) |
마황 또는 용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또는 살충용 조성물 | 10-2018-0044070 (2018. 4. 16.) |
10-2066840 (2020. 1. 10.) |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복원기술연구실 담당자 : 강소영 연락처 : 042-860-9349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