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DMZ 조사

DMZ(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는 조약이나 협정에 의하여 무장이 금지된 완충지대를 의미한다. 무력충돌을 방지하거나 국제적인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이 지역에서는 군대 주둔, 무기 배치, 군사 시설 설치가 금지된다.

전쟁 발발에서 DMZ 생성까지

1950. 6. 25. 한국전쟁 발발 1950. 10.~1951. 3. 58개국 정전안 수립 1951. 6. 23. 유엔·소련 대표 휴전 제안 1951. 6. 30. 유엔군 총사령관 휴전회담 현지 제의 1951. 7. 26.~1952. 4. 28. 군사분계선 가조인 및 휴전 협정 초안 수립 1952. 10. 28. 휴전본회담 결렬 1953. 4. 26. 휴전본회담 재개 1953. 7. 27. 유엔군 대표와 북한·중국 대표 간 정전협정 체결 1950. 10.~1953. 7. 24. 치열한 전투 결과 MDL 형성, 남·북 각각 2㎞의 DMZ 공간적 형태 설정 (지도그림)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며 괄호 안 km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함. 군사분계선(MDL), 북방한계선(NLL, 2km), 비무장지대(DMZ), 민간인통제선(CCL, 10㎞), 남방한계선(SLL, 2㎞)북방한계선(NLL, 2㎞) (상세설명)군사분계선 MDL(Military Demarcation Line) : 1953년 정전협정 체결시 임진강에서 동해안까지 248㎞에 1,292개의 말뚝을 박아 설정한 경계, 북방한계선 NLL(Northern Limit Line) : 군사분계선 기준으로 북쪽 2㎞에 설치한 군사활동 한계선, 남방한계선 SLL(Southern Limit Line) : 군사분계선 기준으로 남쪽 2㎞에 설치한 군사활동 한계선, GP(Guard post) : DMZ 내에 세워진 감시 초소, CCL(Civilian Control Line) : 1954년 미군이 민간인의 귀농규제구역을 설정하기 위해 군사분계선으로 부터 남쪽으로 5~10㎞의 거리를 동서로 잇는 선

  • 저작권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이용범위 제 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메뉴담당부서 : 고고연구실 연락처 : 042-860-9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