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미술문화재연구실은 국내외 미술문화유산의 체계적 조사 · 연구를 통해 한국미술사의 학술적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전통미술의 보존 · 활용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학술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북한미술유산 학술정보 구축, 공예 지식백과 구축, 한국 미술문화유산 네트워크 복원, 동산문화재 학술조사, 국가지정동산문화재 정기조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사업의 결과는 분야별 학술서 발간과 인터넷 등을 통해 외부에 제공하고 있다.
연혁
1970~ | 1973 | 문화재담당관실로 직제 개정시 발굴이나 지표조사, 고건축조사 이외에 본격적인 미술공예 조사사업이 처음으로 시작 |
---|---|---|
1973~1976 | 전국사찰, 국 · 공립박물관 소장 범종조사 실시로 159점 조사 | |
1976 | 전국 사찰 소장 불화조사 사업 착수 | |
1980~ | 1981 | 중요문화재 안전점검 사업 시작 |
1983 | 문화재관리국 문화재 제1과로부터 문화재 안내문안 감수 업무 이관 | |
1984 | 북한 문화재조사와 해외소재 문화재조사 시작 | |
1985 | 전국 사찰소장 괘불조사 시작 | |
1987 | 경주 남산 불적조사 10개년 계획으로 시작 | |
1988 | 발굴 및 지표조사 사업을 담당할 유적조사연구실이 신설됨으로서 미술공예연구실은 미술공예 및 고건축 조사연구 업무만을 담당 | |
2000~ | 2002 | 금석문 종합영상 DB구축 사업 추진 |
2002~2003 |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 및 남북문화재종합학술조사 및 10개년 중장기사업 시작 | |
2003 | 미술공예연구실에서 건조물연구실 독립 | |
2006 | 한국전통문양원형기록화 추진 | |
2006 |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 추진 | |
2007 | 한국 서화가인명사전 편찬 추진 | |
2008 | 실 명칭을 미술공예연구실에서 미술문화재연구실로 개칭 조선왕조의궤 지정학술조사 추진 남북문화재종합학술조사 종료 |
|
2011 | 조선왕조의궤 지정학술조사 종료 한국 서화가인명사전 편찬 종료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고문헌조사 추진 |
|
2014 | 한국전통문양원형기록화 종료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고문헌조사 종료 |
|
2015 | 한국 미술문화유산 네트워크 복원 및 조선시대 개인일기 학술조사연구 추진 | |
2016 | 북한미술유산 학술정보구축 추진 | |
2017 | 국가지정 동산문화재 정기조사 추진 국외소재 한국문화재 조사연구 종료 |
|
2018 | 공예 지식백과 구축 추진 | |
2020 | 한국 금석문 학술정보 구축 추진 |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미술문화재연구실 담당자 : 박지영 연락처 : 042-860-9194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