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고고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과제와 전략
|
김범철
|
|
2 |
10.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경관’ 유형과 특성 연구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
오정심
|
|
3 |
11. 1795년 봉수당 진찬(奉壽堂進饌)으로 보는 조선 후기 채화(綵花) 고찰
|
이경희·김영선
|
|
4 |
12.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의 보존 방안과 사적 지정 전략
|
신민철
|
|
5 |
13. 세계유산도시 경주의 유산화 과정과 지역공동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함예림·김의연
|
|
6 |
2. 일제강점기 만공(滿空)의 예산 정혜사 중창과 석조관음보살입상 조성의 의미
|
이주민
|
|
7 |
3.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영향 관계
|
이용진
|
|
8 |
4. 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
|
심영신
|
|
9 |
5. 조선시대 궁궐 도배지 특성 연구 - 경복궁, 창덕궁, 칠궁을 중심으로 -
|
김지원·김지선·김명남·정선화
|
|
10 |
6.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의 표면특성 분석과 비파괴 정밀진단을 통한 제작기술 해석
|
최일규·양혜리·한두루·이찬희
|
|
11 |
7. 천연기념물 이팝나무 노거수 구조안정성 진단을 통한 물리적 생육상태 평가
|
손지원·신진호
|
|
12 |
8. 남생이의 성적 이형성
|
오정우·남상헌·이성경·강정훈
|
|
13 |
9. 『세종실록(世宗實錄)』, 「오례(五禮)」에 기록된 배표의 절차와 복식 연구
|
김진홍·조우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