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목차별 다운로드
번호 | 제목 | 저자 | 원문 |
---|---|---|---|
1 | 족집게(鑷)의 유형과 사용 문화 | 김지현 |
![]() |
2 |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 노유니아 |
![]() |
3 | 중원역사문화권 설정의 의미와 활용 방안 | 성정용·양시은 |
![]() |
4 | XRD와 FT-IR을 이용한 백제시대 옛사람 뼈의 화장(火葬) 온도 추정 | 유지아·박세린·신지영 |
![]() |
5 | 거창 송계사(松溪寺) 목조여래좌상과 18세기 후반 조각승 상정(尙淨) 불상의 작풍(作風) 연구 | 유재상 |
![]() |
6 | 문화재 현상변경 인·허가 검토기준 마련을 위한 실태분석 연구 | 조홍석·서현정·최지수 |
![]() |
7 | 조선시대 다회장과 매듭장의 역할 규명 | 설지희 |
![]() |
8 |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부마 편복(便服) 고찰 | 이은주 |
![]() |
9 | 한국 고대 건축의 부연(浮椽) 사용 시기에 관한 연구 | 한욱 |
![]() |
10 | 지역 고고유산 체험 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전략 | 김은경 |
![]() |
11 | 고종 연간(1863~1907) 제작 어보(御寶) 연구 | 제지현 |
![]() |
12 | 문화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 안대현·홍후조 |
![]() |
13 |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 4단지 문지 출토 소조편(塑造片)을 통해 본 회암사 사천왕상 | 심영신 |
![]() |
메뉴담당부서 : 연구기획과 연락처 : 042-860-9468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