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전북 마한문화 핵심유적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 발굴현장 공개
작성부서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보도일 2024년 06월 25일
작성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조회수 456

고고학자 설명들으며 3~4세기 고분 발굴현장과 유리구슬 등 관람 … ‘발굴현장 오픈 데이’ (6.26. 오후 2시, 3시)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최인화)는 6월 26일 총 2회(오후 2시, 3시)에 걸쳐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의 3차 발굴조사 성과를 일반 국민에게 공개하는 ‘발굴현장 오픈 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 행사장소: 발굴조사 현장(전북 완주군 용진읍 상운리 산 10-3)

이번에 공개되는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은 전북 마한문화의 핵심 유적으로,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에서 2022년부터 올해까지 총 3차례의 정밀 발굴조사를 실시해 지금까지 9기의 고분이 확인되었다.
* 조사경과: (1차, 2022년) 3호 고분 / (2차, 2023년) 4·6·9호 고분 / (3차, 2024년) 1·2·5·10·11호 고분

올해 진행된 3차 조사에서는 원상운 고분군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대형급 고분(분구 : 약 14∼16m×10∼14m)이 구릉상에 일렬로 배치된 양상(2호-3호-5호)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 축조 시 안정적 성토(흙을 쌓는 것)를 위해 사용되는 ‘점성이 강한 흙덩이(토괴, 土塊)’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주로 봉분이 높은 고분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분구가 낮은 고분에서는 발견된 사례가 많지 않아 의미가 크다.
* 분구(墳丘) : 흙을 쌓아 올려 만든 언덕 형태의 봉분

한편, 5호 고분의 중심 매장시설과 2호 고분 주구(고분 주위에 두른 도랑 형태의 시설)에서는 3~4세기경의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전용옹관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완형이 아닌 깨진 옹관 조각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5호 고분처럼 매장시설 중심부에 옹관 조각을 사용하거나, 2호 고분 1호 옹관묘처럼 옹관 조각을 가장자리에 세우고 윗부분을 덮은 형태는 전북지역에서 보기 드문 사례로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향후 옹관 하부 등에 대한 추가 세부 조사를 더 진행할 예정이다.
* 전용옹관(專用甕棺): 시신을 매장하기 위한 관(棺)의 용도로 만든 항아리 관. 이른 시기의 옹관은 입이 넓게 벌어지고 바닥이 좁은 형태적 특징이 있음.

26일 열리는 이번 ‘발굴현장 오픈 데이’ 행사에서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누구나 담당 고고학자의 생생한 설명을 들으며 발굴 현장을 관람할 수 있으며, 올해 2호 고분과 10호 고분의 목관묘에서 새롭게 발견된 유리구슬을 비롯해 다양한 토기와 철기 등의 출토유물을 만나볼 수 있다.
* 목관묘(木棺墓) : 나무로 만든 관(棺)을 사용한 무덤

단, 우천 시에는 현장 공개가 제한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063-290-9312)로 문의하면 된다. 추후 발굴조사 결과는 영상물로 제작하여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공개할 예정이다.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 https://www.youtube.com/@nrichstory
*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user-sp7qv3fp4k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발굴현장에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적극행정을 실시하여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공유해 나갈 예정이다.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 3차 발굴 조사지역 원경

< 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 3차 발굴 조사지역 원경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 이지영 연구사(☎063-290-9317), 김환희 연구사(☎063-290-9312)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메뉴담당부서 : 국가유산청 연락처 : 042-481-462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