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국영문 동시 배포) 신라·고려 사찰 황룡사에서 금동봉황장식 자물쇠 출토
작성부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보도일 2020년 11월 25일
작성자 정여선 조회수 637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서회랑 서편 발굴 성과 온라인 설명회 25일 오후 2시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신라 사찰 학술조사연구사업으로 추진 중인 ‘황룡사 서회랑 서편지역 발굴조사 성과’를 25일 오후 2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 회랑(回廊): 지붕이 있는 긴 복도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view_as=subscriber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는 지난 1976년부터 1983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금당지와 목탑지 등이 위치한 중심구역과 강당 북편지역 등에 대한 발굴을 진행한 바 있다. 서회랑 서쪽지역은 당시 조사단 사무실이 위치했던 장소로, 사역 내 유일하게 발굴하지 못해 미조사 지역으로 남아있던 곳이다. 그동안 서회랑 서쪽지역은 금당, 목탑 등이 위치한 예불공간과는 달리 승려의 생활공간이나 사찰 운영과 관련된 시설 등이 위치했을 것으로 막연히 추정해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8년부터 서회랑 서쪽(약 8,700㎡)의 미조사 구역 중 북쪽을 우선적으로 발굴했다. 발굴결과, 통일신라~고려 시대에 이르는 건물지, 배수로, 담장지, 폐와구덩이 등 다수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특히, 건물지는 상층에 고려, 하층에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가 중복하고 있어 황룡사 외곽의 공간구성이나 건물 배치의 추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서회랑에서 서쪽으로 약 9m 떨어진 곳에서는 남북방향으로 조성된 35.5m 길이의 고려 시대 담장도 확인되었다. 길이 30~50㎝ 되는 사각형(방형) 석재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대형 암키와 조각을 여러 단 쌓아 수평을 맞춘 후 다시 상부에 석재나 벽돌을 올리는 방식으로 축조됐다. 이 담장을 기준으로 동쪽과 서쪽을 구획한 것으로 보이는데, 회랑 안쪽의 예불영역과 바깥쪽의 생활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 하층에서는 약 5~10cm 크기의 잔자갈과 황색의 점토가 섞인 층이 노출되었다. 이 흔적은 도로기층부로 추정되는데, 남북방향의 도로유구로 이어질 경우 황룡사 서편의 사역 확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삼국~고려 시대에 사용된 기와류, 토도류, 금속유물 등이 다수 출토되었는데, 특히, 금동제·철제 자물쇠 3점이 주목된다. 넓지 않은 조사구역 내에서 통일신라·고려 시대 자물쇠 3점이 출토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서회랑 외곽공간의 기능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보인다.
* 토도류: 점토를 이용하여 빚은 후 구워 만든 그릇으로 보통 500∼1000℃이하는 토기, 그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진 그릇은 도기라고 부름


특히, 통일신라 시대 건물지 기초층에서 출토된 길이 6cm의 금동봉황장식 자물쇠는 지금까지 확인된 바 없는 매우 특징적인 유물로 평가된다. 주조로 제작된 금동자물쇠는 봉황의 비늘이나 날개 깃털 등의 문양을 세밀하게 표현해 매우 정성스럽게 만든 귀중품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해당구역은 사찰과 관련해 중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장치나 시설 등이 마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사지역에 대한 추가발굴이 이어지면 해당공간의 성격이나 기능이 보다 명확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봉황: 예로부터 상서롭고 고귀한 뜻을 가진 상상의 새로 신성시 함


이번 발굴성과 공개는 코로나19로 인해 발굴현장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문화유산을 함께 공유하고자 온라인으로 마련되었다. 국민 누구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방문하면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황룡사를 비롯한 신라 왕경 사찰에 대한 꾸준한 조사·연구를 추진하고, 신라 왕경의 공간과 기능, 나아가 경관을 밝히는데 노력할 것이다. 아울러 이번 현장설명회와 같이 발굴 성과를 국민과 공유할 기회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Excavated Gilt-Bronze Phoenix Padlock at Hwangnyongsa Temple Site fromthe Silla and Goryeo era
-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nline Presentation of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in the Western Part of the West Corridor-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GNRICH, Director Lee Jong-Ho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will unveil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in the western part of the west corridor,’ is an academic research project for Silla temples, at 2 pm on November 25th through the YouTube channel of the GNRICH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view_as=subscriber).


Hwangnyongsa Temple site (Historical site no. 6) in Gyeongju was excavated by the Gyeongju Historical Remains Excavation Research Group (present the GNRICH) from 1976 to 1983. The Gyeongju Historical Remains Excavation Research Group discovered central area, where a Geomdang (a golden hall) and a wooden Top (a wooden pagoda) were located, and the north part of the Geomdang. An Office of the research team was located in the west area of the west corridor, and it was only a place in the whole temple site that remained an undiscovered area. This area has been estimated as where living places for monks might be located, or facilities for the temple operation might be located.
The GNRICH has first excavated the northern part of the undiscovered area in the west part of the west corridor (about 8,700m2) since 2018. The excavation including many features such as building sites, drainages, walls, and abandoned roof tiles dating from the Unified Silla to Goryeo. In particular, the building sites are overlapped on the layers; the upper layer from the Goryeo era and the lower layer from the Unified Silla era. As they were overlapped, it help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spac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buildings outside Hwangnyongsa Temple.


A 35.5-meter-long wall, buil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Goryeo period, was identified about 9m away from the west part of the west corridor. It was built based on square stones of 30-50cm in length, and after leveling it by piling several layers of sizable concave roof tiles on it. Then, stones or bricks were stacked on top again. Based on this wall, it appears to have divided the east and the west. It is assumed that it was built to separate the worship area inside the corridor and the living space outside the corridor. Furthermore,on the lower layer of the building sites in the Unified Silla era, a layer of fine gravels about 5-10cm in size and yellow clay was exposed. This trace seems to be the base of the road. This discovery is expected to beessential data to determine whetherthe west of Hwangnyongsa Temple was expanded further or not if the trace was a road feature in the north-south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is research, a number of roof tiles,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s used in the Three Kingdoms and Goryeo period were excavated. Three pieces of gilt-bronze and iron padlocks are particularlynoted. It is an unusual phenomenon that three padlocks from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 were discovered within the small research area.It seems those padlocks to besignificant data for clarifying the function of the west corridor’s outer spaces.


In particular, a 6cm-long gilt-bronze phoenix padlock excavated from the lower layer of building sites in the Unified Silla era is evaluated as a very characteristic artifact that has not been found so far. The cast gilt-bronze padlock is believed to be a valuable item as it was delicately made to express the scales and feathers of the phoenix in detail.


Therefore, the area appears to have been equipped with devices or facilities to store crucial items related to the temple. It is expected that thenature and function of this area will become more apparentas further excavation at this area continues in the future.


This excavation result is published online to share cultural heritage when it is difficult to visit the excavation site directly due to Covid-19. Anyone can visit the GNRICH YouTube channel to watch videos about unearthed features and artifact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continue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Hwangnyongsa Temple and other temple sites in the Silla capital, and identify the space, function and scenery of the Silla capital. Moreover, the GNRICH plans to expand opportunities for sharing excavation results with the public like this online presentation.


<조사 전경>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박성진 연구관(☎054-777-8805), 정여선 연구사(☎054-622-1740)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문화재청 담당자 : 문화재청 대변인실 연락처 : 042-481-467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