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문화재청, 2022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작성부서 보존과학연구실 보도일 2023년 05월 18일
작성자 김소진 조회수 1525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등 국보‧보물 대형불화 6건의 원형 자료와 채색 정보 수록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진우 스님), 사단법인 성보문화재연구원(원장 현문 스님)과 함께 2015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의 2022년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대형불화(괘불도) : 야외에서 거행되는 영산재(靈山齋), 수륙재(水陸齋) 등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 보통 10m가 넘는 압도적인 크기와 화려한 색채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불교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다.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은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불의의 사고에 대비한 복원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문화재청은 매년 대형불화의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와 보존 현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정밀조사 보고서를 발간해 왔으며, 이번이 여덟 번째 결과물이다.

지난해 조사한 괘불도는 ▲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국보), ▲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보물), ▲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보물), ▲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보물) 등 총 6건이다.

조사 결과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문양 및 장신구 등에서 금박과 함께 많은 은박이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간 일부 괘불도에서 은박이 한정적으로 사용된 것은 확인되었으나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의 경우 특히 사용 범위가 넓어진 것으로 보아 부족한 금박을 대신하는 보완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의 변아(가장자리)에 불화에 생명력과 신성성을 불어넣는 복장(腹藏)의 의미로 기록된 범자(梵字)를 확인하였다. 특히 해당 범자는 현존하는 괘불도 중에서 가장 이른 예로, 이를 판독하여 확인한 진언(眞言)과 도판(그림)을 이번 보고서에 수록하였다.
* 복장(腹藏): 불교에서 예경 대상으로 모셔지는 존상과 불화에 생명력과 신성성을 상징하는 물목과 진언을 넣는 것을 말함
* 범자(梵字): 고대 인도 문자를 통칭하여 이르는 말
* 진언(眞言): 부처와 보살의 서원이나 가르침을 간직한 비밀의 어구를 뜻함

문화재청은 이번 대형불화 정밀조사 결과를 토대로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를 보물로 새롭게 지정하는 등 비지정문화유산의 가치 제고와 보존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에는 보물 <포항 보경사 괘불탱>, 보물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보물 <천은사 괘불탱>, 보물 <해남 대흥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선암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그리고 비지정문화유산인 <남양주 흥국사 괘불도> 등 6건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는 학술연구에 널리 활용되도록 문화재청 누리집(http://www.cha.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괘불도의 고화질 사진 등 원형정보는 문화유산 지식e음(http://portal.nrich.go.kr)의 ‘한국의 괘불 갤러리’ 란(메뉴)에서 공개한다.

문화재청은 향후 전국에 있는 대형불화(괘불도)를 모두 집대성하여 자료 저장소(아카이브)를 구축할 계획이며, 조사를 완료한 대형불화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안전하게 보존·관리할 계획이다.


2022년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jpg

< 2022년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비상업적 이용 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김소진 연구사(☎042-860-9064)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메뉴담당자담당부서 : 문화재청 담당자 : 문화재청 대변인실 연락처 : 042-481-4672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